ESG Data

소중한 가치를 전하는 이야기

오뚜기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부분의 ESG 성과를 투명하게 공시하고있으며, 지속가능경영 국제 보고 가이드라인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2021에 따라 작성하였습니다.
또한 산업 특성에 따른 중요한 이슈를 반영하기 위해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의 가공식품(Processed Foods) 섹터의 산업 표준을 기준으로 ESG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1, 2)

(단위: tCO₂-eq, tCO₂-eq/톤)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1, 2)
구분 2022년 2023년
오뚜기 오뚜기라면 조흥 오뚜기 오뚜기라면 조흥
총계 (Scope1 + Scope2) 89,065 42,413 17,073 89,711 45,725 15,208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 (Scope1) 44,394 28,056 5,633 43,505 30,823 3,973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 (Scope2) 44,674 14,357 11,440 46,211 14,902 11,236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 (원단위) 0.1580 0.2362 0.3752 0.1604 0.2252 0.3036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1, 2)
구분 2024년
오뚜기 오뚜기라면 조흥 오뚜기제유 상미식품 오뚜기
에스에프
오뚜기
냉동식품
풍림피앤피 합계
총계 (Scope1 + Scope2) 93,135 47,742 16,363 4,777 11,022 4,691 8,513 7,319 193,562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 (Scope1) 45,641 31,995 4,213 1,732 3,096 1,669 2,456 2,603 93,405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 (Scope2) 47,500 15,748 12,150 3,045 7,927 3,023 6,057 4,717 100,167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 (원단위) 0.1607 0.2557 0.2928 0.1927 0.8261 0.4639 0.6128 4.1727 0.2185
  • 총 배출량 산정 시 사업장 단위 절사 배출량을 업체 단위로 합하여 실제 배출량과는 차이 있음
  • 환경 데이터 중 원단위는 보고연도 생산량 기준으로 산정함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3)

(단위: tCO₂-eq)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3)
카테고리 카테고리 배출원 2023년 2024년
오뚜기 오뚜기라면 조흥 오뚜기 오뚜기라면 조흥
1 구매한 재화와 서비스 1,218,185 344,897 193,814 1,187,859 362,282 200,582
2 자본재 14,978 2,286 2,180 12,595 3,921 1,835
3 기타에너지 관련 배출활동 9,516 4,792 1,857 11,822 5,642 2,626
4 업스트림 수송 물류 57,985 29,661 60,461 68,014 30,332 83,216
5 폐기물 처리 4,416 1,751 2,771 4,530 2,213 2,283
6 임직원 출장 550 441 47 562 120 76
7 임직원 통근 3,979 872 589 3,426 974 564
9 다운스트림 수송/물류 1,025 3,219 60 1,790 3,111 -
12 판매제품의 폐기/처리 25,741 8,982 909 26,583 9,225 956
합계 1,336,378 396,902 262,688 1,317,181 417,821 292,139
  • 검증 현황: 오뚜기, 오뚜기라면, 조흥 제3자 검증완료

에너지 사용량

(단위: TJ, TJ/톤)
에너지 사용량
구분 2022년 2023년
오뚜기 오뚜기라면 조흥 오뚜기 오뚜기라면 조흥
총 에너지 소비량 1,801.96 855.26 318.01 1,819.37 920.84 325.12
비재생 에너지 1,801.66 854.26 318.00 1,815.23 920.00 325.10
연료 867.96 553.32 79.00 849.47 607.87 86.97
전기 933.10 300.94 239.00 965.20 312.13 238.13
스팀 0.55 0 0 0.56 0 0
에너지 소비 원단위 0.0032 0.0048 0.007 0.0032 0.0051 0.0065
재생 에너지 0.35 1.00 0.01 4.13 0.83 0.01
연료 0 0 0.01 0 0 0.01
전기 0.35 1.00 0 4.13 0.83 0
에너지 사용량
구분 2024년
오뚜기 오뚜기라면 조흥 오뚜기재유 상미식품 오뚜기
에스에프
오뚜기
냉동식품
풍림피앤피 합계
총 에너지 소비량 1,886.01 962.09 353.47 97.74 226.60 91.77 177.33 147.42 3,942.42
비재생 에너지 1,882.26 960.05 353.45 97.50 226.60 91.77 174.88 144.47 3,930.97
연료 889.54 630.97 99.55 33.86 60.96 28.61 48.31 45.90 1,837.71
전기 992.16 329.08 253.90 63.64 165.64 63.16 126.56 98.57 2,092.70
스팀 0.56 0 0 0 0 0 0 0 0.56
비재생 에너지 0.0032 0.0051 0.0063 0.0039 0.0170 0.0091 0.0126 0.0824 0.0044
재생 에너지 3.75 2.05 0.01 0.24 0 0 2.45 2.95 11.45
연료 0 0 0.01 0 0 0 0 0 0.01
전기 3.75 2.05 0 0.24 0 0 2.45 2.95 11.44
  • 온실가스 명세서 및 제3자 검증을 완료한 연료, 전기, 스팀 사용량의 합계
  • 자가발전 기준 재생에너지 발전량
  • 환경 데이터 중 원단위는 보고연도 생산량 기준으로 산정함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

(단위: 톤)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오뚜기 NOx(질소산화물) 19.2 17.8 15.5
SOx(황산화물) 0.01 0 0
먼지 1.2 1.8 1.6
총계 20.5 19.6 17.1
관계사 NOx(질소산화물) 19.8 19.7 19.8
SOx(황산화물) 0.1 0.4 0.3
먼지 2.4 4.1 3.7
총계 22.3 24.3 23.8
합계 NOx(질소산화물) 39 37.5 35.3
SOx(황산화물) 0.1 0.4 0.3
먼지 3.6 5.9 5.3
총계 42.8 43.9 40.9
  • 오뚜기에스에프는 2024년도부터 측정

수질오염 배출량

(단위: 톤)
수질오염 배출량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오뚜기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18.87 7.01 16.69
TOC(총유기탄소) 22.85 19.04 17.37
SS(부유물질) 1.68 10.16 22.88
T-N(총질소) 1.71 1.53 2.34
T-P(총인) 0.77 0.63 0.65
관계사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2.79 2.13 4.10
TOC(총유기탄소) 21.85 19.24 16.79
SS(부유물질) 1.9 2.52 4.84
T-N(총질소) 21.03 23.78 16.89
T-P(총인) 0.30 0.22 0.64
합계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21.66 9.14 20.78
TOC(총유기탄소) 44.70 38.28 34.16
SS(부유물질) 3.58 12.68 27.73
T-N(총질소) 22.74 25.31 19.23
T-P(총인) 1.07 0.85 1.29
  • 오뚜기제유, 오뚜기에스에프는 2024년도부터 측정

폐기물 배출량

(단위: 톤, 톤/톤, %)
폐기물 배출량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지정폐기물 재활용 부식성폐기물 62.01 54.15 16.48
폐유기용제 42.76 19.11 38.72
폐유 1.30 27.42 10.68
소각 폐유기용제 67.66 102.44 26.27
폐유 6.13 3.72 2.43
폐유독물질 0.03 0.02 0.01
그 밖의 폐광물유 0 0 12.66
매립 폐석면 0 1.30 0
소계 179.89 208.16 107.25
일반폐기물 재활용 유기성오니류 10,851.08 10,907.33 10,576.66
폐합성고분자화합물 2,616.60 2,607.78 3,189.73
폐흡착제 및 폐흡수제 3,765.72 2,556.28 1,123.43
폐식용유 325.48 557.89 337.87
동·식물성잔재물 8,321.47 6,985.26 6,561.67
폐목재류 117.58 62.42 100.47
폐유리류 0 4.91 4.43
음식물류폐기물및 처리물 642.08 477.63 850.94
폐소화기류 0 0.99 0.34
소각 유기성오니류 139.38 33.04 820.17
폐합성고분자화합물 2,065.36 2,017.92 780.07
동·식물성잔재물 463.04 495.35 589.57
그 밖의 폐기물 1,482.18 1,556.30 2,022.05
매립 폐흡착제 및 폐흡수제 314.07 1,398.30 4,171.21
소계 31,104.05 29,661.33 31,127.62
총 발생량 31,283.94 29,869.49 31,234.87
폐기물 발생 집약도 (원단위) 0.0368 0.0352 0.0353
폐기물 재활용률 86.17 81.90 73.45
  • 동·식물성잔재물: 식료품 및 음료제조업 등에서 발생하는 잔재물을 포함하며, 음식물류 폐기물은 제외
  • 환경 데이터 중 원단위는 보고연도 생산량 기준으로 산정함

수자원 관리

(단위: 톤, 톤/톤, %)
수자원 관리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용수 취수량 상수도 (공업+생활용수) 1,269,186 1,274,401 1,379,731
지하수 830,325 884,822 888,592
2,099,511 2,159,223 2,268,323
용수 소비량 1,269,186 1,274,401 1,379,731
원단위 취수량 2.469 2.542 2.560
재생/재활용 용수 총량 61,600 66,432 56,726
용수 재활용률 2.9 3.1 2.5
폐수 배출량 1,314,558 1,214,477 1,382,387
  • 용수 소비량: 용수 취수량 - 폐수 배출량
  • 용수 재활용률: 용수 취수량 대비 재생/재활용 용수 총량 비율
  • 환경 데이터 중 원단위는 보고연도 생산량 기준으로 산정함

고용현황

1. 성별/연령별

(단위: 명, %)
1. 성별/연령별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성별 남성 1,134 1,156 1,208
여성 1,995 2,151 2,259
3,129 3,307 3,467
여성 임직원 비율 63.8 65.0 65.2
연령별 30세 미만 591 682 669
30-50세 1,501 1,717 1,800
50세 초과 1,037 962 998

2. 계약별

(단위: 명, %)
2. 계약별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정규직 남성 1,121 1,143 1,194
여성 1,959 2,107 2,207
3,080 3,250 3,401
계약직 남성 13 13 14
여성 36 44 52
49 57 66

3. 직급별

(단위: 명, %)
3. 직급별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임원 남성 6 6 6
여성 1 1 1
7 7 7
미등기 임원~대리 남성 593 595 607
여성 135 154 163
728 749 770
사원 남성 535 555 595
여성 1,859 1,996 2,095
2,394 2,551 2,690
  • 사회 데이터 범위는 오뚜기 별도 기준이며, 범위가 다를 경우에는 해당 부문에 별도 표기하였음

인재 채용 및 이직

1. 신규 채용 현황

(단위: 명)
1. 신규 채용 현황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성별 남성 138 159 169
여성 213 327 278
351 486 447
연령별 30세 미만 188 225 205
30-50세 159 259 236
50세 초과 4 2 6

2. 이직 및 퇴사 현황

(단위: 명)
2. 이직 및 퇴사 현황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성별 남성 176 132 124
여성 109 74 112
285 206 236
연령별 30세 미만 129 91 79
30-50세 110 69 77
50세 초과 46 46 80

3. 자발적 이직 및 퇴직

(단위: 명)
3. 자발적 이직 및 퇴직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성별 남성 171 125 120
여성 108 73 109
279 198 229
연령별 30세 미만 129 91 78
30-50세 106 64 73
50세 초과 44 43 78

다양성 존중

1. 사회적 약자 고용 현황

(단위: 명, %)
1. 사회적 약자 고용 현황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장애인 48 57 55
장애인 비율 1.5 1.7 1.6
  • 오뚜기 직접고용 장애인(오뚜기 장애인표준사업장)
  • 중증 장애인 2배수 적용

2. 여성 고용 현황

(단위: 명, %)
2. 여성 고용 현황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여성 임원 여성임원 1 1 1
여성임원 비율 14.3 14.3 14.3
여성 관리직
(과장이상)
관리직 총 인원 421 393 409
여성 관리직 인원 43 47 50
여성 관리직인원 비율(과장 이상) 10.2 12.0 12.2
여성 임직원 여성 임직원 인원 1,995 2,151 2,259
여성 임직원 인원 비율 63.7 65.0 65.1
  • 여성 임원은 등기임원 기준

육아휴직 사용 및 복귀 현황

(단위: 명, %)
육아휴직 사용 및 복귀 현황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육아휴직 대상 인원 남성 226 218 222
여성 86 98 83
312 316 305
육아휴직 사용 인원 남성 3 7 15
여성 15 17 15
18 24 30
육아휴직 복귀 대상 인원 남성 4 4 5
여성 12 12 13
16 16 18
육아휴직 복귀 인원 남성 3 3 5
여성 12 11 13
15 14 18
육아휴직 복귀율 남성 75.0 75.0 100.0
여성 100.0 91.6 100.0
복귀 후 1년 이상근속인원 남성 0 1 3
여성 16 11 11
16 12 14
복귀 후 유지율 남성 0.0 100.0 100.0
여성 100.0 100.0 100.0
  • 육아휴직 대상 인원: 만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가진 직원 중 180일 이상 재직자
  • 육아휴직 복귀율: 당해년도 육아휴직 복귀 대상자 대비 복귀한 인원 비율
  • 복귀 후 유지율: 전년도 육아휴직 복귀 인원 중 1년 이상 근속 임직원 비율

교육현황

1. 임직원 교육 현황

(단위: 시간, 백만원)
1. 임직원 교육 현황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임직원 교육 현황 인당 교육시간 31.7 46.0 57.3
인당 교육비용 0.3 0.3 0.3

2. 법정 교육

(단위: 명, %, 시간)
2. 법정 교육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성희롱예방교육 교육수료자(비율) 3,129(100) 3,300(100) 3,467(100)
인당 교육시간 1.0 1.0 1.0
장애인인식개선 교육 교육수료자(비율) 3,129(100) 3,300(100) 3,467(100)
인당 교육시간 1.0 1.0 1.0
윤리준법 교육 교육수료자(비율) 3,129(100) 3,300(100) 3,467(100)
인당 교육시간 1.0 1.0 1.0

안전보건

1. 산업재해

(단위: %, 건, 명)
1. 산업재해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임직원 재해율 0.05 0.08 0.11
중대 재해 발생 건수 0 0 0
총 사망자 수 0 0 0
협력사 총 재해건수 4 5 16
중대 재해 발생 건수 0 0 0
총 사망자 수 0 0 0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 기준
  • 협력사는 오뚜기 4개 공장 기준

2. 안전환경 점검

(단위: 회, 건)
2. 안전환경 점검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정기 점검 횟수 262 298 316
개선 조치 건수 674 556 508

경제적 가치 창출 및 분배

(단위: 백만원)
경제적 가치 창출 및 분배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직접적 경제적 가치 창출 매출액 2,759,810 2,872,351 2,926,767
경제적 가치 분배 원자재 및 서비스구매 비용 2,247,839 2,276,933 2,399,085
임직원 급여 및 복리후생비 183,429 189,427 208,328
배당 및 이자 지급 36,105 54,792 49,585
세금(법인세 비용) 32,931 33,528 29,091
지역사회투자(기부금) 9,384 9,715 7,420
2,509,688 2,564,395 2,693,509
  • 오뚜기 별도 기준
  • 서비스: 광고선전비, 운반비, 지급수수료

협회가입 및 지출현황

1. 출연금 및 기타 지출 내역

(단위: 백만원)
1. 출연금 및 기타 지출 내역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로비·이익집단 0 0 0
정치 캠페인 0 0 0
유관 협회 80.8 92.7 96.0
  • 오뚜기는 국내 정치자금법 제6장31조(기부의 제한)을 준수합니다. 직접적으로 정책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자금을 일체 제공하지 않으며,정치적 중립성이 보장되는 협회 등에 대한 지원을 통해 산업 및 공익 발전에 협력하고 있습니다

2. 가입협회

  • 대한산업 안전협회
  • 식품기업 수출협의회
  • 한국공정경쟁연합회
  • 한국능률협회
  • 한국마케팅협회
  • 한국무역협회
  • 한국상장사협의회
  • 한국소방안전협회
  • 한국식품산업협회
  • 한국에너지기술인협회
  • 한국인사관리협회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 한국표준협회
  • 환경보전협회
  • 환경기술인협회
  • 한국소비자중심기업협회
상단으로 이동하기